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ID저장
 
해적 1장 - "세계의 해적"
AD 樂지운영자  
♣이슬람권의 해적
아라비아 근해는 옛날부터 해적의 출몰로 유명했는데, 〈코란〉에 '모든 배를 강탈하는 왕'의 이야기가 나올 정도였다. 홍해 입구의 페림 섬, 아덴 만 앞바다의 소코트라 섬 등도 해적의 근거지로 이름이 높았고, 특히 페르시아 만 방면의 카타르 반도에서 마산담 곶에 이르는 지방은 해적해안으로 불릴 정도로 아랍계 해적의 주무대였다. 또 그 주변지역의 주민들을 총칭하던 자와스미(Jawasmi)라는 말은 해적의 별명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들의 생업은 해적행위, 그 쾌락은 살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해적들은 악명이 높았고, 중세의 아랍·페르시아의 항해자들은 이들에게 큰 고통을 당했다. 인도의 서해안도 이와 마찬가지였다. 이미 1세기에 플리니우스도 이집트와 아라비아에서 인도로 가는 길에 해적이 많기 때문에 궁수 부대를 배에 승선시킨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13세기의 마르코 폴로는 인도 구자라트 지방의 해적에 대해서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14세기에는 이븐 바투타가 인도의 해안에서 해적과 마주쳤던 일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에 의하면 에티오피아의 전사가 해적에게 가장 위협적이었다. 1798년에 아라비아의 자와스미가 영국의 밧세인호를 약탈한 것을 시작으로 자주 동인도회사의 배를 습격하자, 영국은 조직적으로 해적소탕에 나서 1819년에 본거지인 케슘을 함락하여 해적선을 모두 불태워버렸다. 영국이 페르시아 만을 중심으로 중동 일대에 세력을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이를 토대로 해서였다. 북아프리카에서는 모로코·알제리·튀니지·트리폴리 등이 이슬람계 해적의 본거지로 스페인·영 국의 해상세력과의 충돌이 계속 벌어졌다. 오스만 투르크의 명제독이며 '붉은 수염 바르바로스'라고 불리던 하이렛딘(1546 죽음)도 본래는 형과 함께 지중해를 주름잡던 해적이었으나, 튀니지의 술탄을 섬기게 되면서 후에 알제리를 공략하여 그 지배자가 된 사람이다.
 
♣바르바리 해적(Barbary pirate)
북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활동하던 이슬람 해적
17세기에 세력이 절정에 이르렀으며 19세기까지 활동했다. 해적 선장들은 알제리와 튀니지에서 한 계층을 형성했고 부유한 후원자들이 제공한 순항함을 지휘했는데, 투자자들은 노획물의 10%를 배당받았다. 해적들은 플랑드르의 배교자 시몬 단세르가 범선 사용의 이점을 가르쳐준 17세기 이전에는 노 젓는 배를 사용했다. 북아프리카에서 해적활동은 매우 오랜 기원을 갖고 있다. 해적들은 16세기 동안에는 정치적인 영향력이 매우 강했는데, 이들의 대변자는 바르바로사(하이르 앗 딘)였다. 그는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알제리와 튀니지를 합병했으며 해적질을 통해 국가세입을 올렸다. 강력한 무어인들이 라바트와 테토우안에 도착함으로써(1609) 모로코는 해적들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으며, 재빠르게 2개의 도시공화국 지배권을 차지한 알라위 술탄은 세입의 수단으로 해적행위를 장려하기까지 했다. 17세기 동안 알제리와 튀니지 해적들이 힘을 합쳤으며 1650년에 이르러서는 알제리에만 3만 명 이상의 억류자들이 수용되었다. 19세기에는 해적행위가 트리폴리타니아와 미국 간 몇 차례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1815년 이후 영국은 알제리의 해적행위를 억압하기 위해 2차례 군사작전을 시도했으며 해적행위는 1830년에 프랑스에 의해 마침내 근절되었다.
 
♣일본의 해적
일본에서 해적은 고대부터 근세 초기까지 해상의 여러 권익을 기반으로 하고 해상교통의 발달에 따라 번영하여 항만이나 항로의 해변, 섬 등에 근거를 두고 활동하면서 그 시대의 지배자와 대립한 바다의 호족을 지칭했다. 고대의 해적으로는 931년 히부리시마에 근거를 둔 후지와라 스미토모가 이름이 높다. 중세 이후에는 미세·시마·히젠 지방의 해적이 유명했는데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에 근거지를 둔 노시마 무라카미가 대표적인 해적의 호족이었다. 그러나 노시마는 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세토나이카이 진출에 따라 모리 씨 휘하로 들어가 수군(水軍)으로 편성되면서 해적행위를 그만두었다. 이와 같이 해적들은 처음에는 독립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남북조 내란 시기에는 활약이 컸으나, 슈코와 다이묘[大名]의 해안지역 지배가 단계적으로 강화되면서 그 지위를 상실했고 다이묘 휘하의 수군으로 편입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중국의 해적
중국의 해적활동은 처음에는 소규모에 머물렀으나 진(秦)·한(漢) 시대에 산둥[山東]·장쑤[江蘇] 일대를 노략질하고 다니는 해적이 나타났고, 삼국시대부터 남북조시대에 걸쳐서는 남해 방면이 해적의 소굴이 되었다. 당·송 시대에 아라비아·페르시아로부터의 선박 왕래가 많아짐에 따라 이를 습격하는 대해적단이 출현했으며, 푸젠[福建]·광둥[廣東]의 섬들과 하이난 섬[海南島] 등이 그 근거지가 되었다. 원말 명초의 ' 왜구'(倭寇)의 내습을 계기로 명조 정부는 특히 해방(海防)을 엄중히 하고, 적선과 공선(貢船)을 준별하기 위한 감합(勘合)제도를 택했으며, 공선 이외의 일체의 해상교통을 엄금하는 '해금'(海禁)을 시행했다. 그런데 15, 16세기경 내외시장의 성장을 배경으로 해금을 위반하고 밀무역을 일삼던 '가정(嘉靖 : 521~566년의 명나라 연호)의 해구(海寇)'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격발했다.
 
이것을 ' 대외구'(大外寇)라고도 하는데 일본 해적의 참가는 일부에 불과했고, 당시 명조의 중세주구(重稅誅求)를 견디지 못하고 장쑤·저장[浙江]·푸젠 등 연해지 일대에 넘친 중국 빈민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실직관리·낙제서생(落第書生) 등의 불평분자도 섞여 있었다. 이를 이끈 해구 수령은 대체로 사무역 공허(公許)를 바라던 신흥상인층으로 후이저우[薇州] 염상(鹽商) 출신의 왕직(王直) 등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푸젠 성 장저우[獐州]의 상인들이 많았다. 그들은 이미 남해·일본에 걸치는 밀무역에 종사하고 있었으나, 본토 연해의 각 도시와 일본의 고토 제도[五島諸島] 등에 거점을 설치하고 수백 척의 배로 저장·푸젠 등의 연해지, 난징[南京]까지 내습을 일삼았다. 명조가 필사적으로 해적의 소탕에 힘써 융경·만력 연간(陸慶萬曆年間 : 1567~1619)에 해금이 철폐될 즈음 거의 진정되었다.
 
그후 필리핀 방면을 습격하는 해적이 나타났고, 명·청 교체기에 정씨(鄭氏) 일파가 푸젠 성에 근거를 두다가 타이완으로 옮겨가서 반청(反淸) 투쟁을 계속하며 중국 본토를 습격했다. 건륭연간(乾隆年間 : 1736~95)말부터 가경연간(嘉慶年間 : 1796~1820)에 걸쳐 ' 백련교의 난'이 일어났다. 푸젠 사람 채견(蔡牽) 등이 이 난을 이끌었는데, '가정의 해구'와 규모·성격이 모두 비슷했다. 청말부터 중화민국시대에 들어와서도 화남(華南) 해상에 자주 해적이 출몰했다. 또 화이허 강[淮河] 하류에는 염효(鹽梟)라는 소금을 밀수하는 해적떼가 있었으며 양쯔 강[揚子江]에는 강적(江賊)이 출몰했다.

[참조]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락지 기획팀 연재]
 
          네이트온 쪽지보내기   
회사소개  |  제휴문의  |  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안암로 84-12(148-74) 예일빌딩 4층  |  TEL : 02-927-1591  |  Fax : 02-927-2591
상호명 : Y&G Communications  |  대표자 : 임경섭  |  사업자등록번호 : 204-08-39345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3-서울동대문-0674호
Copyrightⓒ Y&G Communications.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