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ID저장
 
샤먼(shaman) 1장 - "샤머니즘(Shamanism)"
AD 樂지운영자  
샤먼(퉁구스만주어로 '아는 사람'이라는 뜻의 shaman에서 유래)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현상이다.

 
샤먼은 시베리아인과 우랄 알타이어족의 종교와 세계 다른 민족들의 유사한 종교에서 병자를 고치고 저 세상과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믿어지는 인물이다. 샤머니즘의 가장 완전한 형태는 극지방과 중앙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이 지역에서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고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의 여러 원주민 집단에서도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샤머니즘의 관념 및 기술이 지배하는 종교(시베리아와 인도네시아의 종교들)와 샤머니즘의 부수적인 현상에 불과한 종교(아프리카 종교들)는 엄밀히 구별되어야 한다.
 
샤먼은 치유자이자 제주이며, 병을 고치고, 공동의 제사를 주관하며, 죽은 자의 영혼을 저 세상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일을 그는 엑스터시에 빠지는 기술, 즉 마음대로 자기 몸을 떠나는 힘을 발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시베리아와 동북 아시아에서는 샤먼인 부모로부터 세습을 받거나 선택에 의해 샤먼이 되며, 자기의 결심이나 종족의 요청에 의해 샤먼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또한 스스로 샤먼이 된 사람은 세습을 받았거나 초능력의 힘으로 선택된 샤먼보다 능력이 더 약한 자로 간주된다. 반면에 북아메리카에서는 샤먼의 능력을 자발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샤먼 선정의 주된 방법이다. 어떻게 선정되든 간에, 여러 해 동안 여러 가지 입문의 고난을 체험하고 자질 있는 선생 샤먼으로부터 지도를 받은 뒤에 비로소 샤먼으로 인정된다.
 
모든 문화에서 샤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치유이다. 병은 영혼의 상실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샤먼은 먼저 그 환자의 영혼이 그의 몸을 떠나 방황하고 있는지, 악령에게 탈취당했는지 혹은 다른 세계에 갇혀 있는지를 진단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라면, 샤먼은 그 영혼을 잡아 환자의 몸속에 다시 집어넣는다. 후자의 경우에는 하계(下界)에 내려가는 일이 반드시 필요한데, 그것은 까다롭고 위험한 일이다. 일정하게 몸을 흔드는 것은 샤먼이 저승으로 내려가 죽은 자의 영혼을 안내하여 새로운 거주지로 인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때 샤먼은 그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의 모든 변화를 참석자들에게 이야기한다.
 
일반적으로 샤먼은 자기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몇몇 조력신(助力神)을 두고 있지만, 그 신들에게 사로잡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신들은 샤먼이 환자의 영혼을 찾는 일을 돕기도 하고, 그가 주)엑스터시의 상태에서 여행할 때 그와 동행하기도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샤먼이 결국 조력신들에게 사로잡혀, 그 신들의 입술 노릇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강신(降神)은 샤머니즘이 다른 마술적·종교적 개념 및 기술과 혼합되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부차적 현상이다. 샤머니즘은 원시종교의 특성을 지닌 신비적 경험이다. 예를 들어 샤먼으로 입문할 때나 제의 때 샤먼이 하늘로 '뛰어오르는 것'은 인류에게 알려진 신비 체험 중 가장 오래된 표현 방식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샤먼은 단순히 신비가일 뿐 아니라, 그 부족의 전통적인 구전을 지키는 자(넓게는 창조자)이기도 하다. 그가 하계에 내려가거나 하늘로 올라가는 여행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집단에서 흔히 입에 오르내리는 서사시의 자료가 된다. 

엑스터시(ecstasy)
(그리스어로 '자기 바깥에 서 있음' 또는 '자기를 초월함'이라는 뜻의 ekstasis에서 유래)
신비주의의 최고 목표를 가리키는 용어.
즉 내면에서 신을 보거나 신과 관계를 맺거나 합일되는 체험을 묘사할 때 사용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육체의 욕망을 씻어냄, 의지를 정화시킴, 정신의 계시를 받음, 존재나 의지가 신과 하나가 됨 등이 있다. 그외에도 춤(마울라위야회나 이슬람교 수피파 수도승들의 춤), 진정제·흥분제의 사용(헬레니즘 시대의 몇몇 신비종교에서 통용), 몇몇 이슬람교 분파들과 오늘날 체험을 강조하는 종교집단들의 특정약물 사용(페요테·메스칼린·대마초·LSD) 등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대부분의 신비종교들은 약물이 인격의 항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므로 그 사용을 반대했다.
 
고대 이스라엘의 특정 예언자 집단은 엑스터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음악을 사용했는데, 이 상태에 들어가 춤을 추며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들은 BC 11세기 이스라엘 왕 사울의 경우처럼 이스라엘의 하느님 야훼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스 델포이에 있는 신탁소의 피티아(여사제)는 특정 샘에서 물을 마신 뒤 파이돈(부활을 상징하는 뱀)이 계시해주는 소리를 받아 말하는 동안 엑스터시 상태로 들어가곤 했다. 이때 여사제의 '말'을 옆에 있던 사제가 신탁 의뢰인에게 해석해줌으로써 재앙, 특히 죽음을 면할 길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원시 종교에서 엑스터시는 '영혼'의 비약으로 병을 고치고, 영혼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샤먼(무당)이 사용하는 고도로 발달된 기술이었다. 엑스터시의 목적과 그 효과는 세계 여러 종교들의 신비주의 저서나 활동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참조]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락지 기획팀]
 
          네이트온 쪽지보내기   
회사소개  |  제휴문의  |  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안암로 84-12(148-74) 예일빌딩 4층  |  TEL : 02-927-1591  |  Fax : 02-927-2591
상호명 : Y&G Communications  |  대표자 : 임경섭  |  사업자등록번호 : 204-08-39345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3-서울동대문-0674호
Copyrightⓒ Y&G Communications. All Right reserved.